본문 바로가기

인도영화 이야기/영화 잡담이련다

볼리우드의 표절, 이제는 리뉴얼로?


 현재 비파샤 바수는 ‘미션’ 등을 만든 롤랑 조페의 글로벌 프로젝트 ‘Singularity’를 촬영중입니다. 롤랑 조페 감독은 인도와 인도영화에 대해 관심이 많아 92년에는 인도에서 ‘시티 오브 조이’라는 영화를 만들었죠. 물론 우리나라에도 개봉되어 큰 호응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롤랑 조페는 ‘Singularity’에 비파샤를 캐스팅하기 위해 비파샤의 영화를 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 중에는 비파샤의 히트작인 ‘Raaz’, ‘둠 2’, 그리고 ‘Race’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 중 2008년도 작품인 ‘Race’를 보면서 자신의 영화 ‘굿바이 러버’와 같다고 해서 소송을 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사실상 ‘Race’의 감독인 압바스-무스탄 콤비는 표절의 제왕으로 유명한데요. 1993년 샤룩 칸의 악역이 돋보였던 ‘Baazigar’는 소설 맷 딜런이 출연한 영화로도 유명한 소설 ‘죽음 전의 키스’를, ‘Daraar’는 줄리아 로버츠의 ‘적과의 동침’을, 조폭 연루사건으로 유명한 살만 칸의 ‘Chori Chori Chupke Chupke’는 역시 줄리아 로버츠의 ‘프리티 우먼’의 컨셉을, ‘Humraaz’는 히치콕의 ‘다이얼 M을 돌려라’를 배꼈지만 사실 마이클 더글라스 주연의 ‘퍼펙트 머더’에 더 영감을 얻었다는 설이 있으며, ‘36 China Town’은 92년 헐리웃 영화 ‘강아지를 타고 온 건달들’을, 2007년 ‘Naqaab’은 ‘dot the I’를 베껴 ‘Race’까지 하면 두 콤비의 필모그래피의 1/3은 표절로 얼룩진 셈입니다.

 

 표절은 나쁜 것이고 특히 인도영화계에 있어 고질적인 악이라고 보지만 ‘Race’와 ‘굿바이 러버’ 사이의 모습은 너무 다르다는 생각이 듭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하나씩 비교해드리면,

 

비평

Rottentomatoes에서 ‘Goodbye Lover’는 30%의 신선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충분하지 않은 역할에 많은 것이 담겨있는 보드게임 같은 영화” - 로저 이버트(시카고 선 타임즈)

“왜 이런 영화가 비디오로 직행하지 않았지?” - 스테픈 홀든(뉴욕 타임즈)

“‘주홍글씨’로 실추된 이름 그대로” - 피터 트래비스(롤링스톤즈)

 

IMDB

 


 

반면 영화 ‘Race’는 Rottentomatoes에선 찾기 힘들었고,

“생각없이 재밌게 볼 수 있다” - 데릭 엘리(버라이어티)

“쿨하고 남성미 넘치는 영화” - 니캇 카즈미(The Times of India)

“스타일 뿐 아니라 내용도 알차다” - 타란 아다쉬(Bollywood Hungama)

 

IMDB

 


 공통되는 평론가는 없지만 'Race'쪽이 내러티브는 약한 대신(어차피 그건 원작도 문제) 오락적인 재미에는 충실한 영화고 이 점은 성공적이라고 봅니다. 



흥행

 먼저 '굿바이 러버'의 흥행입니다. 2천만 달러를 들였는데 1/10도 못 건진 그야말로 난국을 보여줍니다.

 

 



 반면 ‘Race’입니다. 북미 수익은 130만 달러로 ‘굿바이 러버’에게 패했군요. 그런데 정말로 이걸 패배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굿바이 러버’는 첫 주에 800여개의 상영관을 잡고도 극장당 $1,100 정도 수준의 수익밖에 못 거두지만 ‘Race’는 겨우 90여개 상영관에서 극장당 $8,300 정도의 수익으로 선전하죠.

 

 더구나 ‘굿바이 러버’는 미국에서 만들어졌고 ‘Race’의 제작국가는 인도입니다. 공평한 조건에서 상대하면,


 

 게임 끝입니다.

 


개인적인 평가

 

 저는 영화 두 편을 모두 봤습니다. 물론 ‘굿바이 러버’는 10년이나 지났기 때문에 가물가물하지만 당시 시사회장의 썰렁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저는 문득 우리의 비디오시장이 저무는 가운데 이 영화를 수입한 회사가 불쌍해졌습니다.

 



 물론 당시 섹스스릴러라는게 마땅히 나오던 분위기가 아니었기에 이런 영화를 하앍거리며 보고 싶어하는 심심함 어른들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했지만 주인공이 누굽니까? 패트리샤 아퀘트... 패트리샤는 칭찬받을 만한 연기파 배우지만 이 영화는 좀 잘 못 골랐다고 하고 싶습니다.

 

 더구나 당시 커밍아웃을 선언한 엘렌 드 제너레스와의 퀴어적인 설정으로 코믹하게 마무리 하려고 했던 부분은 영화의 전반적인 관객 모독적인 태도에 더 기름을 붓는 격이었죠.


 

 차라리 ‘Race’는 처음부터 ‘나 오락’이라 써 붙이고 뻔뻔한 태도를 취합니다. 예, 사실 ‘Race’역시 개념에 밥말아먹은 막장 영화로 영화를 전개시켜 나가지만 그 모습이 너무 당당해 보여 재밌습니다. 최소한 내용은 생각나지 않아도 귀에 꽃히는 뭔가 싼티나 보이는 댄스넘버들이 귀와 눈을 사로잡습니다.

 

 뭐 인도영화에선 벗어봐야 등짝뿐이지만 비파샤 바수나 카트리나 케이프 같은 배우들이 패트리샤 아퀘트는 충분히 압도하고도 남죠.

 





 올 해 국내의 시네필들을 사로잡은 영화 ‘예언자’의 감독 자크 오디아르는 2005년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이라는 수작을 만듭니다. 30대에 접어드는 불안감을 가진 남자의 이야기를 필름느와르에 담아낸 이 영화는 미국의 독립영화 감독 제임스 토박의 78년작 ‘Fingers’를 리메이크 한 작품인데 ‘내 심장이 건너뛴 박동’이 아니었으면 조용히 묻혀졌을 법한 작품이었죠.

 



 제 맘대로 되는 건 아니지만 볼리우드 영화에 한 가지 기대를 걸어본다면 이제 볼리우드에 표절이 아닌 ‘리뉴얼’을 기대해 볼 수 있을지 모릅니다. 소재나 이야기는 좋았지만 상업적, 비평적으로 인정받지 못했던 영화들을 재해석해 엔터테인먼트로 만드는 것은 상당히 흥미로운 작업이 아닐까 하는데요.

 현재는 인도 역시 표절에 대한 의식과 분위기가 바뀌고 있는 추세입니다. 헐리우스드의 직배사들이 들어와 오히려 합작을 제안하는 흐름이 보여지고 ‘Race’를 만든 표절의 제왕 압바스-무스탄 역시 ‘이탈리안 잡’의 경우는 판권을 구입해 리메이크를 추진하고 있으니 말이죠.

 


 


 얼마 전 개봉한 파라 칸 감독의 ‘Tees Maar Khan’은 ‘자전거 도둑’으로 유명한 비토리오 데 시카 감독의 ‘After the Fox’에서 따왔습니다. ‘자전거 도둑’외엔 딱히 이렇다 할 작품이 없는 데 시카 감독의 영화를 나름 발굴하는 흥미로운 이야기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 역시 합법적인 판권거래는 아닌 것 같아 아쉽지만 말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