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도영화 하면 떠오르는 분위기가 있습니다. 소위 인터넷에 떠돌던 황당 액션류의 주인공들이 마구 날아다니며 악당들을 소탕하는 영화나 콧수염을 기른 아저씨 같은 남자배우들이 활약하는 그런 영화들 말이죠.
인도영화는 촌스러워야 맛이라며 그것을 하나의 지역의 다양성으로 봐주자는 견해도 있지만 아직까지 그런 견해는 영화 마니아로서 소수의 위치에 있는 인도영화 마니아 중에서도 소수 마니아들의 견해가 아닐까 합니다. 아직도 많은 인도영화 팬들은 말쑥한 배우들이 그래도 다소 매끄러운 전개가 있는 발리우드 영화에 익숙해 있으니까요.
하지만 남인도 영화는 그 자체로서도 변화의 흐름을 겪고 있는 듯합니다. 다소 진지한 작가주의 영화들도 계속 나오고 있지요. 마니 라트남 같은 감독이 대표적인 인물일 것이고, 자체적으로도 기술적인 부분이나 각본에 대한 부분에 신경을 쓰고 있죠. 액션 위주의 이 남인도 영화판에서도 슬슬 범죄 스릴러나 멜로물 장르의 영화들이 각광을 받고 있으니까요.
영화 ‘신이 보내준 딸’은 가족영화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도 법정 드라마죠. 이 두 가지만으로도 타밀 영화계에서는 상당히 진보적인 시도라는 생각이 듭니다. 더구나 장애인을 주인공으로 그들의 이야기를 하고 있죠. 숀 펜이 출연했던 영화‘아이 엠 샘’을 따왔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이런 혐의(!)에도 불구하고 인도에서 꽤 해 볼만 한 시도였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만 시도는 좋았지만 안타깝게 영화가 너무 심할 정도로 툭툭 끊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사실 이는 이 영화 말고도 많은 인도영화에서 느꼈던 장면전환, 이야기 전환의 단점이라고 볼 수 있겠죠. ‘신이 보내준 딸’의 경우는 심하구요. 160분에 가까운 러닝타임 동안 뭔가 쫓겨 다니는 듯 허겁지겁해 보이는 전개에 정서 불안에 빠진 정신지체아 크리슈나(비크람)의 모습까지 겹쳐지니 영화가 상당히 불안정해 보입니다. 관객이 주인공에게 측은함을 느끼기 보다는 속으로 ‘저 사람을 먼저 진정시켜야지!’ 하고 소리를 지르고 싶을 심정이니까요.
물론 영화의 의도는 나쁘지 않았다고 봅니다. 하지만 너무 답답할 정도로 주인공을 괴롭히죠. 주인공이 아름다운 마음씨를 가진 부잣집 딸과 결혼했고 그녀와 사별했다는 이유만으로 가족들이 그를 미워하고 딸을 빼앗는 설정은 마치 아침 막장드라마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상황자체를 극단으로 몰아넣으니 영화가 관객에게 할 수 있는 배려는 ‘자 적당한 시점에 손수건을 빼세요.’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고 잘 만든 법정드라마라고 하기도 상당히 아쉬웠습니다. 이상하게 상대편 변호사는 논리적이기는 하나 이유 없고 인정 없이 야박하기만 하고 아누쉬카 셰티가 맡은 아누라다에게 남은 것은 정의 밖에 없어요. 영화의 구도가 이렇다 보니 왠지 인간적으로 약자의 편을 들어야 할 것 같은 애매함이 영화 속에 감돌고 있습니다. 물론 크리슈나가 딸을 만났으면 하는 바람이 있지만 그 이야기를 너무 감성적으로만 풀어갔다는 생각이 듭니다. 착한 영화를 표방한 나머지 인권에 대한 부분이나 법정 드라마라는 시도는 상당히 무색하게 되었지요.
어떻게 보면 크리슈나와 딸 닐라가 행복하게 지냈던 한 때를 그린 인터미션 전 부분이 더 좋았던 것 같아요. 아누쉬카 셰티의 모습을 큰 스크린으로 보고 싶었던 욕심은 있었지만 그래도 차라리 전반부의 비중을 늘리고 법정 드라마 부분을 과감히 줄였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아예 차지게 만들 생각이 없었다면 말이죠.
* 배우들의 연기엔 이의가 없습니다. 모든 배우들이 최선을 다해 좋은 연기를 보여주었지요.
* 영화는 상당히 아쉬웠지만 그래도 비크람이 자신의 영화를 들고 내년에도 부산에 왔으면 좋겠습니다. 작년에 이어 그의 매너에 다시 한 번 감동했습니다. (그러나 역시 저를 기억 못하더군요...)
* 한 지인의 제보에 따르면 이 영화 '신이 보내준 딸'과 '바스코 다 가마'가 BIFF 상영때 편집판이 상영되었다는 이야기가 있군요. 어쩐지 IMDB나 위키피디아에서 올라온 러닝타임보다 짧다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사실이라면 매우 당혹스러운데요. BIFF 국제영화제 맞나요? 한국의 로이 톰슨 홀(토론토 국제 영화제가 자랑한다던...) 영화의 전당에는 비가 샌다고 하더니... 아시아 영화의 메카가 되겠다면서 너무 신경 안 쓰는 것 아닌지...
'인도영화 이야기 > 영화의 전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Milenge Milenge' 지금 시대에 이건 무슨 망발인가 (2) | 2011.11.27 |
---|---|
[톡! 톡! 톡!] Meri.Desi Net 시즌 2 마지막 토크 (0) | 2011.10.31 |
청원(Guzaarish) : 이기적이었던 생의 마지막 순간에 느끼는 진정한 인간관계 (0) | 2011.10.15 |
[BIFF 리뷰] 바스코 다 가마(Urumi) : 새로울 것은 없지만 나쁠 것도 없는 팩션 (4) | 2011.10.14 |
[톡! 톡! 톡!] 영화 'KO'편 (6) | 201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