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영화 이야기/영화 잡담이련다

'스탠리의 도시락'에 거는 남다른 기대

* 해당 글은 2012년 3월 3일에 작성되어 2013년 10월 7일에 마이그레이션 되었습니다.

 


 

 2011년은 인도영화 팬으로서 즐거운 한 해였습니다. 

 '내 이름은 칸'이 개봉되었고 '세 얼간이'는 비록 소수의 상영관이긴 했지만 오리지널 버전으로 상영되기도 했고 '청원'역시 관객들의 좋은 평가를 받으며 극장에 상영되었습니다. 

 이렇게 2011년에는 나름 값진 소득을 얻었는데요, 2012년 역시 인도영화들의 개봉이 기다리고 있고 IPTV 등을 통해 서비스 되고 굿다운로드 서비스로도 만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12년 이런 인도영화의 시장확대에 개봉작으로 첫 포문을 여는 영화는 '스탠리의 도시락'이라는 영화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영화에 거는 남다른 기대가 있어 오늘 이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의 성공을 기대하는 이유에 대해 언급해볼까 합니다.


 한국, 아시아권역에서 인도영화가 시험대에 오르는 나라


 

 


 인도영화, 특히 발리우드 영화는 미국, 캐나다, 영국, 호주,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 세계 20여개국의 나라에 동시 개봉됩니다. 특히 최근 발리우드 영화에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증거로, '세 얼간이'의 여주인공 까리나 카푸르가 출연한 로맨틱 코미디 'Ek Main Aur Ekk Tu'(당신 하나, 나 하나)는 그 유명한 발리우드의 세 명의 칸(Khan, 샤룩 칸, 아미르 칸, 살만 칸을 일컬음)이 출연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북미지역에서만 111개관의 상영관을 잡을 정도로 발리우드 영화는 이전보다 확실히 입지가 커졌지요.

 



 이런 현상에는 발리우드 비 개봉권역에서의 선전도 한 몫을 했다고 보는데요, '내 이름은 칸'과 '세 얼간이'가 우리나라에 개봉되어 좋은 성과를 거두었고 홍콩과 중국에서 잇달아 개봉되었습니다. 특히 홍콩에서 '세 얼간이'는 우리나라와는 달리 편집 없이 170분 버전 그대로 개봉되었음에도 입소문을 타고 흥행에 성공하여 개봉 27주째를 맞고 있는 현재까지 장기 상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뒤를 이어 샤룩 칸의 '내 이름은 칸'이 1월, 단 4개관에서 개봉되었음에도 역시 관객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얻고 8주째 순항중이라고 합니다. '세 얼간이'의 성공으로 영화는 중국에서도 개봉되어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었는데요, 최근 이런 움직임은 페루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 페루에선 '내 이름은 칸'이 2011년 11월에 개봉된데 이어 '청원'이 올 해 2월에 개봉되는 등 이전에는 없던 발리우드 영화의 개봉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지난 1월 홍콩에서 개봉되어 꾸준한 관객을 모으고 있는 '내 이름은 칸'


 

 앞으로 이런 시도는 봄에 개봉예정인 '로봇'에도 기대를 모으고 있는데요, 아직 우리나라에선 개봉대기중이고 일본에서는 5월 개봉이 확정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인도영화 비 개봉권역의 연쇄적인 인도영화 개봉은 우리나라에서의 성공에 힘입어 이루어진 것이라 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무리 비슷한 시기에 해외 마켓에서 다른 나라의 수입업자들이 영화를 구매했다고 치더라도 상업성이 없으면 그대로 버리는 것이 원칙이죠. 따라서 어쩌면 수입업자들은 다른나라의 영화사가 자신들이 수입한 영화를 먼저 개봉해주기를 기다렸었는지도 모를 것입니다. 이런 눈치보기 속에 우리나라의 영화사가 과감한 시도를 했고 이로 인한 성공이 다른 나라의 영화사들에게 자극을 주었다고 봅니다. 결국 우리나라가 인도영화 불모지로 여겨지는 다른 나라 시장에 큰 역할을 했다고 봐야 할 것이죠.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은 이런 흐름속에 또 한 번 시험대에 오르는 영화가 되었습니다. 특히나 이 영화는 스타도 없고 저예산 영화였던 까닭에 발리우드 권역에서조차 개봉되지 않았던 영화였지요. 어떻게 보면 우리나라에서 먼저 총대를 멘 셈이고 그런 까닭에 기존 대형 발리우드 영화와 비교해 의미가 더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이 영화가 국내에 성공한다면 발리우드 영화계 내부에서도 상당한 지각 변동이 있을 것으로 기대를 걸어볼 만합니다.

 특히 스타시스템을 위시한 안일한 영화들이 득세했던 2011년 발리우드 영화계를 돌아보면 인도영화 마니아인 저조차 냉정하게 딱히 건질만한 영화가 없었다고 말씀드리고 싶은 가운데 스타 하나 없이 이야기로만 승부수를 던졌던 이 영화가 자국도 아닌 해외에서 성공을 거둘 경우, 발리우드는 기존의 스타시스템으로 안일한 영화를 양산했던 기존의 흐름을 각성하고 많은 이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드라마가 강한 영화를 만들고, 이야기꾼, 이른바 작가에 대한 비중을 높여 나갈 것입니다. 물론 지금도 발리우드에서는 그런 내적인 노력들이 부단하게 일어나고 있긴 하지만 아직 그런 경향은 비주류 영화계에서 더 강하게 나타나고있고, 따라서 그런 영화들이 대체적으로 상업적인 결실을 맺지 못한 까닭에 약간은 더딘 감이 있기는 합니다.


 기존 인도영화 접근에 대한 잘못된 행태를 뒤집을 영화

 


 작년 가을 특정 인도영화 커뮤니티에서 한 바탕 논란이 벌어졌던 적이 있었습니다. 한 회원이 영화 '청원'을 회원들에게 공유했던 일인데요, 이 영화의 개봉을 알고 있던 저는 해당 회원에게 영화를 공유하지 말 것을 당부했지만 거절당했고 이를 공론화 했는데 놀랍게도 대다수의 회원들이 공유가 무슨 잘못인가하고 걸고넘어지는 사태가 발생했습니다.

 

 사실 인도영화의 개봉의 단맛을 본지는 얼마 안되었고 인도영화 마니아들이 불가피하게 그 전에는 불법으로 다운로드 등을 통해 영화를 공유했습니다. 따라서 인도영화 마니아들 사이에서 불법 파일을 보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고 잘못이 아닌 것처럼 받아들여져있습니다. (물론 그런 행태를 옹호하고자 언급한 건 아닙니다)

 

 일부 주류 마니아들은 이렇게 주장합니다. 누군가 이렇게 퍼뜨리기 때문에 알려지게 되었고 이런 방법으로 인도영화 저변이 확대되었다고 말이죠. 저는 이 말을 긍정적으로 보지 않습니다. 이를테면 2009년 불법 다운로드 10위권 내에 들어 잠시간 붐업을 일으켰던 영화 '가지니(Ghajini)'의 경우 영화가 수입이 되었지만 정작 개봉이나 2차 판권 서비스 따위의 수혜를 입은 바 있었는지 불법 공유를 통한 저변확대를 주장하는 이들에게 묻고 싶습니다.



 

 

 또한 '세 얼간이'와 '내 이름은 칸'의 불법 다운로드로 인한 피해는 각 영화당 10만명의 관객 손실이라고 보고하고 있는데, 솔직히 10만명까지는 과장되었다고 할지라도 이로인한 손실이 있었음은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불법 다운로드의 경우에도 쉬운 접근성으로 감상자를 확보하기는 하지만 공유 사이트에 '초 강추 인도영화'나 '흥행대작' 따위의 문구가 있다 한들 이용자에게 '인도영화'라는 선입견이 존재하는 가운데에선 해당 영화를 선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 보는데, 결국 인도영화를 원래 좋아했던 이용자나 열린 사고를 가진 소수가 아니고서야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일은 쉽지 않을 것으로 봅니다. 쉽게 말하면 불법으로 영화를 다운받아 보는 사람들 가운데에서도 인도영화를 선택할 사람은 많지 않다고 보는 것이죠.

 때문에 위와같은 전례를 보았을 때 저는 인도영화를 알리는 것은 영화의 정식 개봉과 합법적인 서비스라는 주장을 하고 싶습니다. '세 얼간이'와 '내 이름은 칸'을 배포해서 알렸다지만 배포자들의 채널은 한정되었고 또한 영화적인 정보나 콘텐츠가 함께 간 것도 아니었던 까닭에 성공적인 저변 확대라고 볼 수 없을 것입니다. 쉬운 예로 그렇게 배포되었음에도 '내 이름은 칸'이 국내에는 인터내셔널 버전으로 개봉되었다는 사실을 언급했던 사람이 얼마나 되었나만 봐도 알 수 있죠. 정작 개봉되었을 때 160분 버전을 봤던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식을 전달해 주지 못했고, 따라서 대부분의 관객들이 다른 버전이 있는 것조차 몰랐다는 것은 그들 나름의 방식이 성공적이지 못했음을 말해주는 것은 아닐꺼요. 

 또, 정말 특이한 예를 들어볼까요? 모 IPTV에서는 발리우드 뉴웨이브 감독 아누락 카쉬아프의 'Dev.D'를 '첫사랑 끝사랑'이라는 다소 황당한 제목으로 서비스 한 바 있는데요, 의외로 이 영화는 IPTV에서 쏠쏠한 재미를 거두었고 해당 IPTV의 발리우드 영화 전용 서비스를 열게 만든 공신이 되었는데 정작 인도영화 마니아들 사이에서는 발굴하고자 하는 의지도 없었고 심지어 일부 마니아들에게는 '데브다스'를 능욕한 역적의 영화 취급까지 받는 영화였는데 성공을 거두었다는 사실은 참 아이러니 합니다. 


  이런 일련의 케이스들을 보며, 과연 불법다운로드로 저변확대라는 말은 얼마나 실효성을 거두었는지 의심해 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스탠리의 도시락'이라는 영화를 알아봤고 이 영화가 마켓을 통해 수입이 되었다는 소식을 접했을 때 과연 인도영화 마니아 집단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지켜봤습니다. 그런데 자막 제작은커녕 이 영화에 대한 언급조차 없었습니다. 물론 유명한 배우가 나오지 않는 것도 그런 조류에 한 몫을 했겠지만 한 편으로는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렇게, 영화 '스탠리의 도시락'은 불법 다운로드의 마수에서 벗어난 영화입니다. 많은 이들로부터 좋다고 평가가 나 있는 검증된 영화고 이제 관객에게 그 평가가 돌아갑니다. 저는 이 영화가 성공해서 일부 인도영화 마니아들의 다운로드를 통한 인도영화의 저변 확대라는 인식이 잘못되었음이 증명되었으면 좋겠습니다. 한 편으로는 이 영화의 성공을 통해 더 많은 좋은 인도영화들이 합법적인 경로를 통해 빛을 보기를 바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