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가 여전히 보수적인 사회이기는 하지만 가끔 영화 몇 편을 보면 우리나라의 사정보다 더 낫다고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이 중 프라카쉬 자 감독의 영화는 메이저 배우를 기용하면서도 내용적으로는 사회 운동을 전면적으로 다루고 있어 인도영화가 다룰 수 있는 소재의 허용 범위가 생각보다 넓다는 생각에 내심 인도영화를 다시 바라보게 합니다.
‘사티아그라하’는 ‘항거(抗拒)’라는 뜻을 다루고 있는데 제목부터가 상당히 도전적입니다. 더구나 영화에서 다루어지는 주요 테마들이나 사용되는 음악을 보면 마치 영화가 하나의 민중운동영화처럼 보여지기는 합니다.
영화는 어두운 테마를 다루고 있지만 생각보다 너무 침체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빠른 전개로 하고자 하는 말들을 빠르게 정리해갑니다. 프라카쉬 자 감독과 아미타브 밧찬이 함께했던 ‘아락샨(Aarakshan)’이 두서없이 이 이야기 저 이야기를 늘어놓던 것과는 달리 하나의 사건을 다루고 인물들을 그에 집약시키면서 안정적으로 이끌어 나갑니다.
다만 안타깝게 연출 방식은 약간 구식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 없었는데 선이면 선, 악이면 악으로 대변되는 지극히 평면적인 인물들은 영화가 다소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프라카쉬 자가 상업적으로 성공한 ‘라즈니티(Raajneeti)’의 인물들이 입체적이었던 것에 비하면 그런 부분이 조금 아쉽게 다가오기는 합니다.
하지만 달리 생각해보면 아예 작정하고 그런 캐릭터들을 만들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를테면 정의를 나타내는 인물인 드와카(아미타브 밧찬)를 중심으로 자본으로 대변되는 마나브(아제이 데브간), 언론을 상징하는 야스민(까리나 카푸르), 힘을 나타내는 아르준(아르준 람팔)이 힘을 합친다는 설정 자체가 사실 현실성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이죠. 어쩌면 이것은 감독의 비현실적인 기도와도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처럼 영화 ‘사티아그라하’는 현실을 비판하기 위해 비현실적인 소재들을 끌어옵니다. 과거 인도영화가 현실을 감추기 위한 도구의 역할을 했다면 지금은 어느 정도 현실을 수용하면서 환상을 만들어냅니다. 비평적으로 영화를 보는 이들에게는 ‘어차피 허구를 통한 청량감’은 똑같지 않느냐며 비판할지 모르는 일이지만 그들 스스로 대안을 만들기 전까지는 일단 비현실적인 해결책을 만들더라도 현실과 계속 부딪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다 보면 정말 인도에서 대안을 가진 사람들이 더 좋은 영화를 내놓을지 모르는 일이니까요.
Verdict 인도에서 히어로를 만드는 방법 ★★★
'인도영화 이야기 > 영화의 전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카이츠' 연대기 (6) | 2013.10.30 |
---|---|
카달(Kadal): 마니 라트남만이 할 수 있는 이야기 (0) | 2013.10.12 |
인도에서밖에 나올 수 없는 처절한 복수극 'Eega' (0) | 2013.10.10 |
[톡! 톡! 톡!] '지상의 별처럼' 2차 맛살라 톡 후기 (0) | 2013.10.08 |
영화 'Fanaa' 읽기 (0) | 2013.1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