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영화 이야기/TRiVIA! 별별 이야기

영화 'Fanaa'에 인용된 노래들



해당 글은 2012년 9월 19일에 작성되어 2013년 11월 6일에 마이그레이션되었습니다.

 

 

 

 

 인도영화처럼 음악이 강한 영화도 없다고 봅니다. 더 흥미로운 점은 현대의 영화들이 단지 동시대의 음악만을 다루고 있지만 않고 과거의 음악적인 유산을 십분 활용한다는 점입니다.

영화 ‘Fanaa’에서도 역시 R.D. 부르만, 라타 망게쉬카르, 키쇼어 쿠마르 등의 발리우드를 빛냈던 음악인들의 작품들을 영화 곳곳에 인용합니다. 물론 고전이다 보니 오늘 소개하는 곡들이 생소하시겠지만 영화와 함께 음미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초반 버스신

 

 


 < Dekha Na Hai Re Socha > from Bombay to Goa (1972)
 by Kishore Kumar
 감독 R. D. Burman

 

  레한의 주체할 수 없는 끼가 발산되는 장면으로 영화 ‘Bombay to Goa’의 노래가 쓰였을 뿐아니라 전반적인 분위기도 차용한 듯합니다. ‘Bombay to Goa’는 아미타브 밧찬이 앞에 앉은 아가씨에게 자기의 장기를 보여주는 장면인데 아무리 차량신과 배경이 합성이라고 하지만 우리나라 관광버스보다 위험한 움직임을 구사하는 밧찬옹에 비해 아미르 칸은 참 점잖게 노래를 부르는구나 하는 걸 느낄 수 있죠.

 

  * ‘Fanaa’에 삽입된 부분은 1분 정도 지나야 나옵니다.

 

 

 

 

  주니와 레한의 두 번째 데이트

 

 


 < Lag Jaa Gale > from Woh Kaun Thi (1964)
 by Lata Mangeshkar
 감독 Madan Mohan

 

  자신의 욕구를 따른다는 레한은 그 필요에 의해 주니와 가까워졌지만 진심을 느낀 후 피하게 됩니다. 이런 이별을 예감이나 한듯한 쓸쓸한 이 노래는 영화의 후반부 주니의 집에 상주하던 레한이 새벽녘에 주니를 보았을 때 주니가 듣고 있던 노래기도 합니다. 그만큼 시간이 흐른 뒤에도 레한을 잊지 못했다는 증거겠죠.

 

 상당히 유명한 음악이라 그런지 영상과 사운드를 리마스터링했네요.

 

 

 

 

 


인도국가 가르쳐주기

 

 

 

 

 Jana Gana Mana (인도국가)

 

  소위 자나 가나 마나라 불리는 인도의 국가입니다. 남의 나라 국가를 알필요가 있나 하겠지만 그래도 올려보겠습니다. 지금은 고인이 된 휘트니 휴스턴은 91년 슈퍼볼 경기장에서 미국 국가를 부른 것을 싱글로 내서 빌보드차트 20위권 안에 들어간 기록이 있다고 하더군요.


 Jana ga?a mana adhin?yaka jaya he
 Bh?rata bh?gya vidh?t?
 Panj?b Sindhu Gujar??a Mar??h?
 Dr?vi?a Utkala Ba?ga
 Vindhya Him?chala Yamun? Ga?g?
 Uchhala jaladhi tara?ga
 Tava ?ubha n?me j?ge
 Tava ?ubha ??hi?a m?ge
 G?he tava jaya g?th?
 Jana ga?a ma?gala dh?yaka jaya he
 Bh?rata bh?gya vidh?ta
 Jaya he, jaya he, jaya he
 Jaya jaya jaya, jaya he.
 

 

* 글씨가 깨져서 나오는 점 양해 바랍니다. ^^

 

 뜻은 우리의 애국가처럼 우리나라만세입니다. 어린 레한은 Dravida를 크리켓 선수인 Dravid로 바꿔부르죠. 역시 국가는 짧고 명확한 것이...

 

  여담이지만 어떤 사람들은 공식행사에서 애국가를 생략한다는데 아마 이들도 영화 ‘Fanaa’를 본 건 아닌가 저만 생각해봐요.


A. R. 라흐만 버전 (저 대가들 중에서는 라흐만이 가장 연소하다고 ㄷㄷㄷ)

 

 

 


 

 

추억속에 잠겨

 

 

 

 

 

 

< Tere Bina Zindagi Se > from Aandhi(1975)
 by Kishore Kumar & Lata Mangeshkar
 음악: R.D. Burman

 

  의지할 곳 없는 아버지 줄피카르는 늘 아내 생각에 잠겨있습니다. 이제는 술고래가 다 된 것 같네요. 그를 방으로 보내고 레한은 설거지를 하듯 남은 노래를 부르는데 이 노래를 통해 주니와 어떤 연결고리를 갖게 됩니다.

 

  8년 전에는 두 사람이 시 대결을 펼쳤다면 지금은 이 노래를 통해 흘러간 유행가 부르기 시합을 하게 됩니다.

 

 

 

 

 

 

  음악 이어받기 / 레한

 

 

 


 < Haal Kaisa Hai Janaab Ka > from Chalti Ka Naam Gaadi(1958)
 by Asha Bhosle & Kishore Kumar
 음악: S. D. Burman

 

  레한은 주니로부터 ha로 끝나는 가사를 이어받게 되는데 그 때 떠올린 노래가 바로 ‘Haal Kaisa Hai Janaab Ka’라는 노래입니다. 만약에 지금 3, 40대 사람들이 옛날 1960년대 나온 시골영감 처음타는 기차놀이 같은 노래를 한다면 참 아스트랄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인도영화는 그게 너무 자연스러워요.

 

  이를테면 Geeta Dutt가 부른 ‘Babuji Dheere Chalna’같은 노래는 지금 들어도 상당히 세련되었거든요. 그 노래가 54년 영화 ‘Aar Paar’에 나오는 노래라고 생각하면 믿어지지 않죠.

 

 

 


 

 

  음악 이어받기 / 주니

 

 

 


 < Hum Aapki Aankhon Mein > from Pyaasa(1957)
 by Geeta Dutt, Mohammad Rafi
 음악: S. D. Burman

 

  주니는 레한으로부터 hu로 끝나는 가사를 이어받게 됩니다.
 여기서 음악감독이 S.D.도 있고 R.D.도 있는걸 보셨을텐데, R.D.는 S.D.의 아들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한 음악 가문이 발리우드의 한 시대를 풍미하는 음악을 낳았죠.
 전주가 길어 한 1분 30초 뒤로 음악이 나옵니다.

 

 

 

 

 


  음악 이어받기 / 레한

 

 

 


 < Yeh Chand Sa Roshan Chehra > from Kashmir Ki Kali(1964)
 by Mohammed Rafi
 음악: O. P. Nayyar

 

  이 음악도 상당히 유명한 곡이라고 합니다. 카슈미르를 배경으로 한 아름다운 사랑이야기인데 정말 카슈미르엔 피부가 백옥같은 미녀들만 사는건지 영화가 그런 착각을 하게 만든건지 모르겠지만 여하튼 한 번 가보고 싶게 만듭니다.

 

 

  시퀀스에 등장하는 샤르밀라 타고르라는 배우는 묘한 매력이 있는데 슬하에 세 자녀를 두었으니 그 중 두 사람이 바로 세프 알리 칸과 소하 알리 칸입니다.

 

 

 

 수상 맛살라 시퀀스는 이 영화가 50년이 다 되어감에도 상당히 감각적으로 보입니다. 이 장면만 약간 따서 만든 시퀀스가 바로 영화 ‘Rockstar’의 패러디 시퀀스인데요. 이 영화에 출연했던 샤미 카푸르에 대한 오마주라고도 합니다. 6-70년대를 대표하는 서구적 미남스타 였는데 ‘Rockstar’를 마지막으로 세상을 떠났죠.


 << ‘Rockstar’의 패러디 시퀀스 >>

 

 


 

 

음악 이어받기 / 주니

 

 

 

 < Yeh Raaten Yeh Mausam > from Dilli Ka Thug(1958)
 by Kishore Kumar, Asha Bhosle
 음악: Ravi

 

 

 

 

 

 

 

  음악 이어받기 / 레한

 

 

 

  < Waqt Ne Kiya Kya Haseen Sitam > from Kaagaz Ke Phool(1959)
 by Geeta Dutt
 음악: S. D. Burman

 

  노래 주고받기 따위는 잊고 레한은 과거의 사랑을 다시 느끼게 된 것 같습니다. 영화 ‘Fanaa’를 보면 마치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같은 작품을 떠올리게도 하는데 혼자 사는 엄마, 철없는 아이, 남자 손님이라는 구조에서 아저씨를 밀어내려는 엄마 캐릭터가 그런 느낌을 주게 하죠. 어쩌면 다른 남자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마음속에 죽은 레한을 묻고 살려는 의지가 다분히 보이기도 합니다. 이런 그녀에게 그의 등장은 기적이 될지 아픔이 될지... 궁금하시다고요? 궁금하면 영화로 직접 확인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