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영화 이야기/영화의 전당

히로인(Heroine): 발리우드 비하인드 스토리만 훑다 끝?

해당 글은 2012년 11월 5일에 작성되어 2013년 11월 ?일에 마이그레이션 되었습니다. 

 

 




  당초 아이쉬와리아 라이가 주연을 맡았던 이 프로젝트는 과거 흑백영화시대를 풍미하던 할리우드 여배우들처럼 사랑과 성공과 몰락의 이야기를 그리겠다는 이야기를 했던 까닭에 약간 우아하지만 슬픔이 깃든 그런 영화를 기대했지만 예산이 대폭 삭감된 까닭인지(30 Crores가 들었지만 그나마 애쉬측과의 소송문제도 있었고 제작 지연으로 인한 진행비만 한 3 Crores 정도가 소요되었다고) 프로젝트도 갑자기 반다카르 감독이 잘 하는 사회적이고 비판적인 이야기로 돌변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충분히 그럴 수도 있다고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영화는 괜찮은 구석으로 구조물을 쌓아놓고 어이 없이 무너뜨리기를 반복합니다. 마치 프리얀카 초프라가 나왔던 '패션'의 속편같은 느낌을 여러번 주지만 그 영화가 주었던 스타의 완성이나 극의 흐름에 집중하게 하는 요소가 크게 부족합니다. 그게 마히라는 캐릭터가 이미 완성된 인물이라서가 아니라 신변잡기적인 이야기만 계속 풀어놓기 때문이죠.




  발리우드의 가십이나 엔터테인먼트판을 본다는 재미로 보면 재미있는지 모르겠지만 영화는 마치 어린 아이처럼 뭐 하나를 진득하게 하지 못하고 이 이야기를 꺼냈다가 애매하게 엎어버리고 또 다른 이야기를 하기를 반복합니다. 몇몇 부분은 그래도 괜찮은 부분이 있었습니다. 이를테면 성깔있는 남인도 작가주의 감독의 발리우드 진출작 이야기를 그린 부분이 좋긴 했지만 여기서도 내쇼날 어워드 운운하는게 2회 수상작인 반다카르 감독의 자뻑모드같이 느껴져서 정이 떨어지더군요. (그런 사람이 영화를 이렇게 못 만드나... ㅡㅡ;;)


  그래도 까리나 카푸르의 연기는 괜찮았습니다. 어떻게 보면 영화 '히로인'이라기 보다는 까리나 카푸르의 배우 카탈로그를 본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맛살라 메이저 영화부터 작가주의 영화에도 어울리는 그녀. Rediff의 독설가 라자 센 조차 이 영화에 혹평을 가하면서도 까리나에게 소위 까방권(까임방지권)을 주었다는게 납득이 가긴 하지만 천정부지로 치솟은 그녀의 몸값('히로인'으로 까리나가 7 Crores를 받았다는 설이 있음)을 보면 어떤 배고픈 작가주의 감독이 그녀를 쓸지는...





  * 영화가 당초 프로덕션 의도대로 만들어 질 거였으면 애쉬가 나았는데 이렇게 나온 걸 보니 애쉬보단 까리나가 더 낫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그나마 메소드 연기는 까리나가 더 되는 편이니...


  * 중간에 원로 배우로 나오는 헬렌이라는 배우가 있는데. 인도에 단과자가 많아서 그런지 젊은 시절의 미남미녀 배우도 나이들면 살찌는군요. 이 분의 현재 직책은 살만 칸 엄마.



  * 반다카르 감독이 자신의 2008년 작품인 '패션'에 미련이 많이 맺혔나봅니다. 자신이 정식으로 메이저에 서게 된 영화중 하나인데 영화 자체도 '패션'과 공통분모가 많은데 영화 속 몇몇 인물들 이야기가 영화 '패션'의 실제 배우들과 묘하게 겹치는데... 반다카르 감독이 디스하고자 하는 의도도 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런데 극중 인물 이름중 하나가 압바스 칸인데 '패션'에 나왔던 아바스 칸이 연상되기도 합니다. 그런데 아바스의 어머니 헬렌여사가 출연하니... 그런 건 아니겠죠? (이에대한 아바스의 의견은 없군요)


  * 까리나는 영화의 80%는 실제 발리우드의 모습이라고 하는데 음...


 * 물증은 없지만 심증으로만 보면 마두르 반다카르가 누군가(한 명 이상)를 diss하려고 만든 영화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영화는 그 것 때문에 이 인간이 치졸하게 보이고 생각하면 울화통 터지고 그래요 ㅎㅎ


  * 근작중에 발리우드 영화판을 다룬 가장 괜찮은 영화는 2008년 조야 악타르의 데뷔작이었던 'Luck by Chance' 정도네요. 그냥 호기심에 볼 만은 하지만 만듦새에 있어 아쉬움이 그득한 영화입니다. 

 Verdict 뭘 하나 진득하게 보여주질 못하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