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영화 이야기/영화의 전당

바르피(Barfi!): 감동과 재미 하지만 그것을 막는 단점 하나


 

 

 영화 ‘바르피’의 처음의 제작 방향은 로맨틱 스릴러였습니다. ‘프로메테우스’같은 영화도 ‘에이리언’프리퀄을 예상하고 만들었지만 다른 텍스트를 가진 영화로 변화했던 것처럼 아마 ‘바르피’역시 처음 예상했던 의도와는 조금 다른 방향으로 영화를 진행한 게 아닌가 합니다.

 

 영화는 바르피라는 언어, 청각장애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구성이나 이 인물의 다음 행동과 주변 인물과 얽힌 사건들을 따라가는 구성은 어쩌면 처음 의도했던 스릴러적인 요소를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올 해 개봉된 ‘아티스트’같은 영화에서 느끼는 무성영화의 향수나 찰리 채플린을 비롯한 슬랩스틱 코미디 영화배우에 대한 오마주로 영화를 접한다면 이 영화는 인물이 주는 따뜻함이나 인도영화들이 잘 표현하는 사랑의 감성들을 한껏 느낄 수 있지만 이 영화의 가장 치명적인 단점은 오리지널리티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앞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슬랩스틱 개그는 찰리 채플린뿐이 아닌 많은 슬랩스틱 개그들을 차용했는데 이는 오마주라고 보더라도 몇몇 부분에 있어서는 정말 오그라들 정도로 다른 영화에서 가져온 이야기들이 많이 보이는데, 물론 그 신이나 시퀀스들이 원래의 것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하더라도 ‘대놓고 그 장면을 차용’하는 것은 작가로서의 자질을 의심하게 하는 부분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영화 ‘바르피’는 충분히 좋은 영화가 될 수 있었지만 이 영화를 보고 있을 때 ‘많이 안다는 것’이 득이 아닌 독이 되는 건 정말 안타까운 일인 것 같습니다. 자꾸 인도영화에서의 차용문제는 인도영화 팬으로서 타인의 인도영화에 대한 비판(보다는 비난)을 그대로 듣고만 있어야 하는 안타까운 결과를 맞게 하지만 '그런 영화들은 인도에서도 욕먹어' 라고 모르쇠 전법을 쓰기에 이 영화 '바르피'는 그 작은 단점이 영화의 큰 재미와 감동에 대해 큰 누가 될 것 같아 안타깝게만 느껴집니다.

 

  Verdict 감동과 재미 하지만 그것을 막는 단점 하나 ★★★★



 * 어떻게 보면 스릴러적인 요소를 가미하려던 것은 맞습니다. 영화의 작은 틀 중 하나가 자폐증 환자인 질밀의 실종사건이기 때문이죠. 곳곳에 배치된 영화적인 장치나 배우들의 연기, 음악의 사용이나 아름답고 따뜻한 분위기들이 좋았지만 그놈의 딱 한가지 흠이 제일 컸죠.

 * '바르피!'는 2013년 제 85회 오스카상 시상식 외국어영화상에서 인도영화 대표로 출품되었습니다.

 

 * 원래 일레나 드크루즈가 맡을 배역을 카트리나 케이프에 주려 했다는데요. 불명확한 이유로 카트리나가 거절했다지만 사실 란비르와의 열애설 등등이 얽혀있었던 걸로 추정됩니다

 

 * 바르피 역은 란비르 카푸르에게만 주려 했는데 완벽한 캐스팅이라고 보고 싶네요

 

 * 요즘 UTV사 영화에 노래가사 번역이 들어가지 않습니다. 최근 까리나 카푸르의 'Heroine'도 그랬고요. 자막하는 (저같은 사람을 힘빠지게 하는 일이죠. 힌디어를 배워야하나 싶기도 하고...

 

 


 * 프리얀카 보러왔는데 일레나에게 더 빠져든다는 저로서는 비운의 영화 되겠습니다. 부산에서 이 영화를 접하신 분들이 모두 프리얀카보가 일레나를 더 찾으시네요...
 참고로 생소한 분이 많으시겠지만 일레나는 텔루구에서 잘나가는 여배우입니다. 힌디어 영화는 이 영화가 처음이라네요

 * 11월에 샤룩 칸이나 아미르 칸이 어떤 연기를 보여줄 지 모르겠지만 제가 봤을 땐 올해도 란비르 카푸르가 유력한 남우주연상 후보네요.

 * 영화 자체는 good인데 창작성 때문에 soso로 강등(!)시켰습니다. 우리나라 영화 팬들중에 '광해'나 '최종병기 활'을 보고 비판하는 관객의 심정을 조금은 이해할 것 같더군요

 * 프리얀카와의 좋은 추억(!)은 간직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