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도영화 이야기/영화의 전당

잉글리쉬 빙글리쉬(English Vinglish): 자신을 돌아보는 여성이 되라

 

 

 

 

 가끔 자신의 능력을 모르고 살다가 어느 날 초능력이 있는 것을 알게 되는 캐릭터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을 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어떻게 쓰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할 것입니다. 아니면 그들은 죽을 때까지 자신의 능력을 감춰둔 채 살아갈 지도 모르죠.

 

 만약 그런 인물이 인도의 여성으로 태어났다고 하면 어떨까요. 여자가 무슨 교육이냐고 필수교육까지만 받고 집에서 살림하는 연습만 하다가 지참금 수준에 맞는 얼굴도 모르는 남자와 결혼해서 자신의 능력을 저주하며 살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여기 라두(ladoo)를 만드는 샤시라는 아주머니가 있습니다. 라두는 인도에서 생산되는 밀가루 종류중 하나인 Gram flour와 코코넛 등을 첨가해서 만든 골프공 크기의 동글동글하고 일반적으로 노란 색의 과자입니다. 남편은 ‘우리 마누라는 라두나 만들려고 태어났죠’하고 무시하기 일쑤고 딸은 영어도 못하는 엄마가 부끄럽다면서 곧잘 삐치곤 합니다. 이것도 여자의 일생이겠거려니 하고 살아가던 샤시는 어느 날 뉴욕에 사는 동생의 결혼식 준비를 하러 가게 됩니다. 혈혈단신 말이죠.

 

 영어를 못하는 그녀에게 찾아온 4주라는 시간동안의 영어울렁증 극복 프로젝트는 새로운 경험, 도전, 그리고 새롭게 찾아온 사람과의 관계를 만듭니다.


 

 

 영화는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들 속의 머릿속에 자리하고 있는 샤시와 같은 전형적인 인도 여성에 대한 이미지, 순종적인 아내와 인자한 엄마라는 캐릭터라는 인물을 여성작가답게 그려내고 있습니다. 마치 영화는 ‘그래 이런 인물이 인도영화 속에 많이 녹아있지. 그런데 정말 이 인물은 과연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라는 생각에서 출발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영어를 배운다는 것은 단지 그녀가 카페에서 형편없는 영어실력 때문에 흘린 눈물 때문에 끌어들인 소재가 아닙니다. 물론 그녀가 피부로 영어를 쓰는 나라에서 영어를 배워야 한다는 개연성을 주기 위해 끌어들인 소재지만 결국 영어를 배움으로서 ‘새로운 지식의 습득’, ‘말을 한다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이야기를 같이 끌어오는 결과를 보여줍니다.

 

 영화는 ‘현재’를 보여주기 위해 인물의 설정이나 사연을 소개하는데 시간을 할애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샤시와 그 주변 인물들 간의 모습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도의 전형적인 여성’이라는 넓은 관점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죠. 이를테면 이 영화 ‘English Vinglish’를 볼 때 스리데비라는 여배우가 연기하는 샤시라는 이름을 빼놓고 사리를 입고 뉴욕을 거니는 한 중년 인도여성을 대입해 보는 것입니다.

 

 사실 국적과 복식만 바뀌었지 아줌마들의 모습은 비슷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 행동의 전형성부터 일을 다룰 때의 문제나 사람과의 관계를 대할 때의 모습들을 보면 아줌마 캐릭터를 주인공으로 내세웠던 우리나라 드라마의 주인공들과 유사한 부분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나보다 가족을 먼저 생각한다든지 강한 것 같지만 약하고 정이 많은 그런 캐릭터 말이죠.

 

 이런 점은 충분히 이 영화가 인도 뿐 아니라 다른 나라 사람들에게도 정서적인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이 영화가 주는 메시지인 ‘가끔은 자신을 돌아볼 필요’에 대해선 많은 여성들이 공감하리라 봅니다.

 


 

 

 공식적으론 1997년 (이제는 도련님인)아닐 카푸르와 공연했던 ‘Judaai’를 끝으로 힌디영화계를 떠나 제작자로 활약하던 스리데비는 15년 만에 스크린 복귀 작품으로 이 영화를 선택했는데 상당히 현명한 선택이었다고 봅니다. 사실 15년이나 영화를 쉰 까닭에 국내의 인도영화 팬들은 그녀의 존재를 이름만 알지 실제로 본 영화가 드물긴 합니다. 저 같은 경우도 얼마 전 타계한 야쉬 초프라 감독의 ‘사랑의 시간(Lamhe)’라는 영화에서 처음 봤는데 당대를 풍미한 여배우답게 연기와 안무 모두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는 배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오랜 공백기에도 불구하고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주는데 과거 그녀가 활동했던 당시 인도영화들이 배우들에게 극적인 연기를 지도했던 것과는 달리 이 영화 ‘English Vinglish’에서는 사실적인 연기를 보여주고 그러면서 관객들의 감정을 촉촉이 스며들게 하는 코드를 지니고 있어 오랜 공백기가 무색한 열연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제가 잘 모르는 시대의 여왕이지만 이 영화만 봐도 소위 ‘여왕의 귀환’이라 부르는 것이 무색하지 않게 느껴졌습니다.


 

 

  Verdict- Indian lady in New York ★★★★★


* 영화엔 아미타브 밧찬과 살만 칸이 나오는데 어떤 분이 진짜일까요? ㅋㅋ

* Priya Anand 라는 텔루구에서 활약하는 배우가 나오는데 참하네요 *^^*

 



* 타밀버전엔 타밀 최고의 스타중 한 명인 아지뜨 쿠마르가 나옵니다.  힌디판에서 밧찬옹이 연기한 역할을 타밀판에서 합니다. 올 해 'Billa 2'라는 영화 하나로 명성을 보여준 배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