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Oye! It's Bollywood

2013년 상반기 일본, 홍콩 인도영화 개봉대기작

해당 글은 2013년 2월 16일에 작성되어 2013년 11월 14일에 마이그레이션 되었습니다.

 

 

 

  아시아 지역은 인도영화의 직배가 이루어지는 말레이시아나 싱가포르를 제외하고는 주력 시장이 아니었는데요. 최근 인도영화가 하나의 시장으로 형성되면서 속속들이 인도영화들이 중국, 홍콩, 일본 등지에서 개봉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특히 홍콩과 일본의 인도영화 시장을 살짝 들여다보고 3월 이후 개봉작들을 살펴볼까 합니다.

 

 

 



<< 영화 'English Vinglish'의 포스터 >>




 홍콩에 갑자기 인도바람이 분 건 다름 아닌 ‘세 얼간이’의 유래 없는 성공 때문이었습니다. 극장 체인인 UA는 아예 우리나라 C모 극장처럼 UA Cinehub라는 브랜드를 만들어서 인도영화를 꾸준히 소개합니다. 그렇게 해서 ‘내 이름은 칸’, ‘Zindagi Na Milegi Dobara’, ‘Delhi Belly’를 소개했고 최근에는 비드야 발란 주연의 ‘Kahaani’가 개봉되었는데 이 영화는 10주간 슬리퍼 히트를 기록합니다.

 이번에 Cinehub 브랜드로 소개될 영화는 8-90년대를 풍미했던 배우 스리데비의 복귀작인 ‘English Vinglish’라는 영화로 3월 14일에 홍콩에 개봉될 예정입니다. 가족의 결혼식 때문에 미국에 간 전형적인 인도의 부인이 영어를 배운다는 이야기인데요. 기존의 인도영화와는 달리 사실주의적이면서도 인도영화 특유의 휴머니즘을 잃지 않는 영화로 인도 개봉당시 비평과 흥행 모두 성공을 거두었고 여성 감독인 가우리 신데는 이 영화로 Filmfare 신인감독상을 수상하며 미라 네어나 파라 칸, 조야 악타르를 이을 발리우드의 여류 감독으로 주목 받기도 했습니다.

 


 홍콩에 인도영화 바람을 불게 한 영화가 ‘세 얼간이’였다면 일본은 ‘로봇’이 그 역할을 해냈습니다. ‘춤추는 무뚜’가 대성공을 거둔 이후 꾸준히 배우 라즈니칸트의 작품이 소개되기는 했지만 일본 역시 우리나라에서처럼 영화가 성공했다고 인도영화의 맥이 계속 이어진 것은 아닙니다. 물론 DVD같은 매체로 간간히 소개되기는 했지만 정식 개봉은 잘 이루어지지 않았었죠. 심지어 우리나라에선 나름 쏠쏠한 흥행을 거둔 ‘내 이름은 칸’같은 영화도 DVD로 직행했으니까요.

 그런데 ‘로봇’의 성공 이후 일본에선 1차 판권 시장에서도 슬슬 인도영화에 대한 관심을 갖기 시작합니다. 지난 12월엔 라즈니칸트의 ‘보스’를 개봉시켰고 다음 달에는 얼마 전 우리나라에서 개봉된 ‘옴 샨티 옴’을 준비 중입니다.

 



 가장 눈여겨 볼 프로젝트는 ‘볼리우드 최고 4작품 로드쇼’라는 프로젝트입니다. 일단 오는 4월 20일을 시작으로 살만 칸의 ‘타이거(Ek Tha Tiger)’, 샤룩 칸의 ‘DON 2’, ‘목숨이 다하는 한(Jab Tak Hai Jaan)’ 세 작품을 로드쇼로 상영하고 5월 18일부터는 아미르 칸의 ‘세 얼간이’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소수의 문화를 존중하고 정통 맛살라 스타 라즈니칸트로 입지를 굳힌 일본이기에 일본은 정통 상업 발리우드 영화를 내세운 반면 홍콩은 인도 특유의 오락영화 보다는 작품성을 검증받은 영화들을 위주로 선별하고 있다는 점이 다소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를테면 지난번에 소개드린 적 있지만 얼마 전 일본에서 영화 ‘보스’를 개봉하면서 아예 영화사는 철저한 ‘맛살라 문화식 인도영화 보기’라는 프로젝트를 마련해서 영화 보는 동안 소란, 춤, 환호 허용 이라는 나름의 파격 조건을 내걸고 인도 카레빵 같은 제품을 나누어 주는 등 나름 일본다운 마케팅을 구사했는데요. 이에 그치지 않고 명사 초대와 같은 각종 이벤트로 관심을 환기시키기도 했지요.


<< 영화 '보스'의 맛살라식 극장관람 안내 광고 >>




 반면 홍콩의 경우는 앞서 언급한 대로 우리나라 C모 극장의 무비꼴라주같은 브랜드임을 위시하며 발리우드 영화라고 뭔가 다른 양식이 있는 것이 아니고 다름 속의 같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모습이 돋보였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인도 내에서 작품을 인정받은 동시에 인도영화에 익숙하지 않은 홍콩 사람들에게도 어느 정도 어필할 만한 영화를 내걸겠다는 것이죠. (개인적으론 홍콩의 모델을 더 선호하기는 합니다)

 


두 나라가 인도영화 수입, 배급에 있어 다른 모습을 보이기는 하지만 그래도 나름의 공통점을 엿볼 수 있는데요. 볼 수 있는 인도영화 배급의 공통점은 인지도 있는 회사가 주도, 관리한다는 것입니다.

홍콩은 앞서 말씀드린 대로 UA에서 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 ‘로봇’, ‘보스’는 가도카와에서 했고 이번 볼리우드 시리즈 프로젝트는 닛카츠에서 마련했다는 점이 눈여겨 볼 만하다는 점입니다. 솔직히 일본이나 홍콩에서의 대중들의 반응은 어떤지 모르겠지만 결국은 인도영화를 하나의 트렌드로 삼고 이름 있는 기업에서 트렌드세터 역할을 자초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홍콩과 일본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나름 빠듯한 살림을 하는 회사에서 인도영화를 수입한 까닭에 일본 닛카츠가 하는 ‘볼리우드 4’ 프로젝트처럼 개인적으론 나름 아이디어라 생각해서 연합 영화제 식으로 상영을 한 뒤 빠르게 유통시키는 전략을 몇몇 회사에 제안한 바 있는데 직접적으로 언급은 안하겠지만 국내 모 수입사는 실제로 특정 영화를 수입했다고 공시만 해놓고 실제로 영화를 들여오지 않아 굉장히 당혹스럽더군요. 이런 것들을 통해 국내에 인도영화 틀기가 참 쉽지 않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고요.

 이전에도 말씀드렸지만 홍콩, 일본에서는 영화를 편집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너무도 당연하다는 듯 극장에서 알아서 필름 좀 쳐달라고 하는 형국이니 아무리 천만 관객이 나오면 뭐하겠습니까. 소위 갑이라는 사람들이 문화의 후진성을 자초하고 있으니 말이죠.

 



 일본이야 작은 극장들이 살아있고 로드쇼라는 개념이 있어서 그렇다고 치더라도 우리나라보다 극장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영화 시장 규모도 작은 홍콩은 뭔가요. 오히려 이들이 영화를 걸기가 힘들면 더 힘들지 않겠습니까? 할리우드 주류 영화도 5주 안으로 빠져나가는 홍콩에서 170분짜리 ‘Zindagi Na Milegi Dobara’같은 영화를 편집 없이 겁니다. 물론 사정상 교차 상영은 되겠지만 적어도 영화를 온전히 볼 권리는 주고 있다는 것이 핵심이죠.

 계속 이웃나라에서 이런 소식이 들려올 때 마다 부러우면서도 우리의 실정과 비교되니까 참 아쉽다는 생각에 입맛만 다시고 있습니다. 그래도 언젠가는 나아지겠지 하는 생각에 잔소리는 계속 하지만 어째 그 잔소리는 줄지 않고 늘어간다는 느낌은 지울 수 없네요...